목록개발자 공부 로그 (3)
흔한 개발자의 일상

유선일때는 인터넷 접속이 잘 되다가 무선을 바꾸면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 생겼을때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연결이 안되는 이유는 가상머신과 컴퓨터가 서로 인터넷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다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마치 소켓 프로그래밍처럼 서로의 주소를 알아야 데이터가 오갈수 있는것 처럼 말이죠. 설명은 이정도로 하고 시작해보겠습니다. 1. 네트워크 연결 창을 열어서 Wi-Fi 네트워크의 [속성] 탭을 선택합니다. 2. [속성]에서 [공유] 탭을 선택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선택항목이 VMnet 이 있음을 확인합니다.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이로서 컴퓨터에서 가상머신으로 가는 다리를 놨습니다. 이제 가상머신에서 문을 열어야 겠죠?? 3. VMware 창에서 Edit - Editor를 누릅니다. ..

Static 메모리 할당 static 메모리는 일반 변수가 stack memory 에 담기지도 않고 Heap memory에 담기지도 않는다. 그러면 어디에 담길까? Code Area에는 코드가 담기며, Global Static Area 영역에 static으로 선언된 데이터가 담긴다. 나머지 Stack , Heap 메모리 영역에 Dynamic 하게 함수 및 변수등 데이터들이 들어왔다 지워진다. Static Area에 담기는 데이터의 종류 전역변수 전역함수 static 변수 Static 데이터 메모리 할당 하는 시점 : 컴파일시 메모리 할당이 되며 이 데이터가 완성된 프로그램 파일 어딘가 담겨있다. static을 사용 하는 이유 : 다른 파일에서도 해당 변수 또는 함수를 호출해 데이터를 수정 및 복사해 사용..

좋은 라이브러리를 깃헙에서 가져왔는데 뭔가 오류가 있어서 수정도 하고 싶고 수정된 소스를 다른 프로젝트에 쓰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외부 프로젝트를 내 프로젝트에 조합해(incorporating) 사용할 때가 많다. 기본적으로 내 프로젝트에 외부 깃 프로젝트를 복사해서 내 로컬 저장소에 커밋하지 못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 대안은 있다. submodule 과 subtree 방식 두가지 중 자신에게 맞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이것으로 만족하지 못했는지 통째로 가져와 수정하고 싶다면 subtree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서브 모듈과 서브 트리의 차이 1. 서브 모듈 서브 모듈은 외부 프로젝트를 자신의 리모트 저장소에서 포인트를 해 매번 클론을 할때 마다 링크된 모듈들도 ..